카테고리 없음

" 여공스님의 와편각(瓦片刻)전 새겨진 말씀.. "

채운(彩韻) 신다회 2009. 6. 24. 12:49

 

ㅣ 금강경(金剛經) ㅣ

                                                          일체유위법(一切有爲法)
                                                          여몽환포영(如夢幻泡影)
                                                          여로역여전(如露亦如電)
                                                          응작여시관(應作如是觀)

                                                           이 세상 모든 것은
                                         꿈 같고, 허깨비같고, 물거품같고, 그림자같고
                                                  이슬같고 또한 번개불과 같으니
                                               마땅히 이와 같이 보아야 하느니라.

 

ㅣ 오분율, 출가선언 ㅣ

 

                                           나는 하늘에 태어나기를 원치 않는다. 
                                           많은 중생이 삶과 죽음의 고통 속에 있지 아니 한가. 
                                           나는 이를 구제하기 위해 
                                           궁을 떠나는 것이니 
                                           위 없는 깨달음을 얻기 전에는 결코 
                                           돌아오지 않으리라.

 

ㅣ 황벽희운(黃檗希運),전심법요(傳心法要) ㅣ
                                                               내외신심일체구사
                                                              (內外身心一切俱捨)

                                                                그대가 진정코
                                                               자유롭고자 한다면 
                                                               안으로나 밖으로나
                                                                몸과 마음에 대한
                                                               집착을 모두 털어 버리라

 

 

ㅣ 부설거사(浮雪居士)의 게(偈) ㅣ

                                                    가사설법여전우(假使說法如電雨)
                                                    감득천화석점두(感得天花石點頭)
                                                    건혜미능면생사(乾慧未能免生死)
                                                    사량야시처부부(思量也是處浮浮)

                                                     설령 설법이 뛰어나서
                                                     하늘을 감동시켜 꽃을 뿌리고
                                                     돌이 고개를 끄덕인다 해도
                                                     마른 지혜, 나고 죽음을 면치 못한다면
                                                     생각하면 할수록 허무할 뿐이로구나

 

ㅣ 임운무작(任運無作) ㅣ

                                                          흐르는 대로 맡겨 놓는다.

 

 


기왓장에 새긴 부처
여공스님의 와편각(瓦片刻)전


풀숲에 감춰져 있던 퇴락한 절집안의 오래된 깨진 기와조각에 부처님의 말씀과 조사스님들의 게송을 새기기 시작하면서 와편각(瓦片刻)이라는 말을 처음 사용했습니다. 

와편각은 글자 그대로 '기와조각에 새기는 글'입니다.
하고많은 새김질의 소재 중에서 하필 깨진 기와조각에 주목 했던 것은

그 것이 오랜 세월 우리네 영욕의 절집안 내력과 함께 했음에도 불구하고

말 그대로 '버려진' 것들이어서 푸른 이끼를 뒤집어 쓰고 절집안 뒤켠에 버려진 것들에

 어떻게 하면 장엄을 되돌릴 수 있을까 생각하던 긴 뒤척임의 소산입니다.
다행히 기와는 스스로 그 질감이 지극히 불교적이기도 하고

혹은 전생의 기억까지 들춰 내주는 오랜 것이기도 해서

불교예술이라는 그릇에 담아져도 시방삼세 부처님 법을 훼손할 염려는 없다고 여겼습다. 

크게 보아 어떤 재료와 도구로 만들어지든지 그 내용과 형식이 부처님 법의 장엄이라는 명분에 합당한 것이라면 설령 도둑의 칼이라도 아무런 문제가 없을 것입니다.
칼이라는 도구가 강도가 들었을 때는 강도의 칼이 되고

부처님이 들었을 때는 법의 칼이 되는 것이니

 '글자를 새겼으므로 서각이다, 도구가 다르니 전각이다'는 말은 무위롭습니다.

새기는 방법과 도구의 모양만 가지고 이 것이다 저 것이다 예단하는 것 조차도

우리가 꿈꾸는 영화로운 부처세상이 되는 데는 하등 도움될 것이 없습니다.

와편각은 이미 기법을 초월한 그 무엇입니다.

그 것은 중요한 것이 아닙니다.
와편각(瓦片刻)은 이미 서각이네 전각이네 하는 세속의 분별을 떠나

오로지 부처님 법 을 장엄하는 방편의 하나로 기능할 것이고

문화포교사로서의 전법활동을 위한 법(法)의 칼로 기능하기를 바라는 일에

더 할 것도 덜 할 것도 없는 행위입니다.

그 것으로 족하다 하겠습니다.
어느 땐가는 사라질 기와조각을 찾아 들고 그 기와조각을 닦아 햇빛에 말려놓으면

 깨진 조각 하나하나가 숱한 설법을 했습니다. 

글 읽다가 가슴 미어지게 벅차오를 때,

돌이 고개를 끄덕이고 무릎을 치고 좋아라 환희심이 온 몸을 휘감을 때,

그 때마다 거기에 그 빛을 새기기 시작했습니다.

철사를 갈아 새기기도 했고

묵은 마음과 게으른 영혼과 온갖 쓰린 것들을 갈아 피나게 새겼습니다.
기와조각에 부처님 말씀을 새기기 시작했더니

기와는 다시 부처님 법 가득한 장엄법문을 했습니다.

달마를 새기고 조사께서 동쪽으로 온 까닭을 묻는

숱한 납자들의 의심을 담아 혜가를 새기고

도신, 홍인, 임제를 새기고 벽암록이니 육조단경이니

법을 설하는 인연 닿는 말씀들을 새기기 시작했습니다.

아함을 새기고 법구경을 새기고 꽃이 개화하듯 하는 게송을 새겼습니다.

아직 이 새기기는 끝나지 않았습니다.
깨진 조각으로 버려진 기와를 만나 마음을 얻었으니 이보다 더 큰 법열이 있을까.

버려진 보잘것 없는 와편에게 보내는 미소입니다.
벽돌을 갈아 거울을 만드는 일 만큼이나 어려운 일입니다.

기와를 갈아 부처를 새기는 일 또한 문자 이전의 니르바나에는 턱 없이 모자라는 일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깨진 기와조각에 부처를 새기는 이 일은

내 공부의 방편이기도 하고

대중에게는 꽃 들자 미소짓는 이심전심의 한 마음이기를 바랍니다.

행여 이 행위가 조사스님들께는 누가 되지는 않는지 자꾸 돌아보며 정진할 일입니다.


  여공 합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