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죽계별곡(竹溪別曲) / 고려 경기체가 죽계별곡(竹溪別曲) 1장 竹嶺南 永嘉北 小白山前 (죽령남 영가북 소백산전) 千載興亡 一樣風流 順政城裏 (천재흥망 일양풍류 순정성리) 他代無隱 翠華峯 天子藏胎 (타대무은 취화봉 왕자장태 ) 爲釀作中興 景幾何如 (위양작중흥 경기하여 ) 淸風杜閣 兩國頭御 (청풍두각 양국두어 ) 爲 山水淸高 景幾何.. 나의 이야기 2009.09.19
[스크랩] 관동별곡(關東別曲) / 경기 체가 관동별곡(關東別曲) 제1장 海千重 山萬壘 關東別境 (해천중 산만루 관동별경) 碧油幢 紅蓮幕 兵馬營主 (벽유당 홍연막 병마영주) 玉帶傾盖 黑 紅旗 鳴沙路 (옥대경개 흑삭홍기 명사로) 爲 巡察景 幾何如 (위 순찰경 기하여) 朔方民物 慕義趨風 (삭방민물 모의추풍) 爲 王化中興 景幾何如 (위 왕화중흥 .. 나의 이야기 2009.09.19
김삿갓 시조 시시비비 이 해 저 해 해가 가고 끝없이 가네. 이 날 저 날 날은 오고 끝없이 오네. 해가 가고 날이 와서 왔다가는 또 가니 천시(天時)와 인사(人事)가 이 가운데 이뤄지네. 是是非非詩 시시비비시 年年年去無窮去 日日日來不盡來 년년년거무궁거 일일일래부진래 年去月來來又去 天時人事此中催 년거.. 나의 이야기 2009.09.19
[스크랩] 우리의 산수화와 옛 명기들의 시조 江陵郊外 (48×69㎝) 梨花雨 흩뿌릴 제―계랑 배꽃 흩어뿌릴 때 울며 잡고 이별한 임 秋風落葉에 저도 날 생각하는가 千里에 외로운 꿈만 오락가락 하는구나 지은이 : 계랑(桂娘). 여류시인. 부안의 기생. 성은 이(李) 본명은 향금(香今), 호는 매창(梅窓), 계생(桂生). 시조 및 한시 70여 수가 전하고 있다. .. 나의 이야기 2009.09.19
[스크랩] 옛 시조 모음 원 게시물을 보시면 음악을 들을 수 있습니다. 청산은 나를보고 청산(靑山)은 나를보고 말없이 살라하고 명월(明月)은 나를보고 티없이 살라하네 욕심(慾心)도 벗어놓고 성냄도 벗어놓고 바람같이 구름같이 살다가 가라하네 나옹선사 (1262-1342);고려 말기의 고승,공민왕의 왕사. 춘산에 눈 녹인 바람 - .. 나의 이야기 2009.09.19
[스크랩] 고대 가요 구지가(龜旨歌) 해가사(海歌詞) 황조가(黃鳥歌) 공무도하가(公無渡河歌) 정읍사(井邑詞) 구지가(龜旨歌) - 작가: 미상(未詳) 龜何龜何(귀하귀하) 거북아 거북아 首其現也(수기현야) 머리를 내밀어라 若不現也(약불현야) 만약 안 내밀면 燔灼而喫也(번작이끽야 ) 구워서 먹을 것이로다 연대: 가락국 때(A.D.. 나의 이야기 2009.09.19
[스크랩] 향가 원 게시물을 보시면 음악을 들을 수 있습니다. 서동요(薯童謠) 처용가 제망매가 찬기파랑가(讚耆巴郞歌) 안민가(安民歌) 풍요(風謠) 헌화가(獻花歌) 모죽지랑가(慕竹旨郞歌) 혜성가(彗星歌) 원왕생가(願往生歌) 도솔가(兜率歌) 원가(怨歌) 천수대비가(千手大悲歌) 우적가(遇賊歌) 보현십원가(普賢十願.. 나의 이야기 2009.09.19
[스크랩] 경기 체가 경기 체가 한림별곡(翰林別曲) - 한림제유(翰林諸儒) 제1장 元淳文 仁老詩 公老四六 李正言 陳翰林 雙韻走筆 沖基對策 光鈞經義 良鏡詩賦 위 試場ㅅ 景 긔 엇더니잇고 (葉)琴學士의 玉筍門生 琴學士의 玉筍門生 위 날조차 몃부니잇고 현대어 풀이 유원순의 문장, 이인로의 시, 이공로의 사륙병려문. 이.. 나의 이야기 2009.09.19
[스크랩] 高麗 俗謠 동동(動動) - 작자 : 알 수 없음. 德으란 곰배예 받잡고 福으란 림배예 받잡고 德이여 福이라 호날 나사라 오소이다 아으 動動다리 正月ㅅ 나릿 므른 아으 어져 녹져 하논대 누릿 가온대 나곤 몸하 하올로 녈셔 아으 動動다리 二月ㅅ 보로매 아으 노피 현 燈ㅅ블 다호라 萬人 비취실 즈시샷다 아으 動動.. 나의 이야기 2009.09.19
[스크랩] 樂章 이 악장 모음에 표기된 한글 문자는 웹 텍스트상에서 원작의 옛 한글 글자가 지원되지 않는 다음 문자들은 원음에 가깝게 현재의 한글 문자로 표기되었슴. 아래'아' - > 'ㅏ'로 독립된 모음 - > 앞에 'ㅇ'을 붙임 겹소리 자음 - > 가장 유사한 소리로 표기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 정인지(鄭麟趾:139.. 나의 이야기 2009.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