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고전 시가 [고대가요] 고공가 / 허 전 구지가 규원가 / 허난설헌 공무도하가 성산별곡 / 정 철 황조가 선상탄 / 박인로 해가(사) 누항사 / 박인로 정읍사 연행가 / 홍순학 [향가] 일동장유가 / 김인겸 서동요(薯童謠) / 서동 농가월령가 / 정학유 혜성가(彗星歌) / 융천사 용부가 / 미상 풍 요(風謠) / 사녀들(양지스님) .. 나의 이야기 2009.09.19
" 황진이 시조 " 相思相見只憑夢 (상사상견지빙몽) 그리워라, 만날 길은 꿈길밖에 없는데 ?訪歡時歡訪? (농방환시환방농) 내가 님 찾아 떠났을 때, 님은 나를 찾아왔네 願使遙遙他夜夢 (원사요요타야몽) 바라거니, 언제일까 다음날 밤 꿈에는 一時同作路中逢 (일시동작로중봉) 같이 떠나, 오가는 길에서 만나기를.. < .. 나의 이야기 2009.09.19
[스크랩] 우리대표 옛 시조(5-칼럼 읽기) 안희웅 저 / 예림당 우리 조상들의 멋과 애환이 깃든 노래! 우리들이 랩을 웅얼거리거나 유행하는 가요를 듣고 부르듯 우리 조상들은 그 시절, 시조를 짓고 시조창을 했습니다. 시조에는 스러져가는 망국의 설움과 신하의 도리, 효도, 우정, 사랑 등 조상들의 멋과 애환이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 그래.. 나의 이야기 2009.09.18
[스크랩] [논단] 현대시조의 미래를 전망한다/민병기 현대시조의 미래를 전망한다/민병기 현대시조의 미래를 전망한다. 민병기(창원대 교수) 1. 시조가 시의 으뜸이 되어야 한다. 21 세기에 시조 부흥이 가능할까. 현대시조가 널리 애독되고, 누구나 그 몇 수쯤은 즐겨 암송하거나 노래 하는 시조의 국민문학 시대가 열린 것인가. 다시 말해 시조가 민족시.. 나의 이야기 2009.09.18
김삿갓 / 33. 鶴去樓空鳥獨啼(학거루공조독제) 김삿갓 / 33. 鶴去樓空鳥獨啼(학거루공조독제) 33. 鶴去樓空鳥獨啼(학거루공조독제) 김삿갓 飄飄然亭(표표연정)이라는 정자 이름의 出典(출전)이 陶淵明(도연명)의 歸去來辭(귀거래사)일 것이라는 김삿갓의 추측과는 달리 이곳에서는, 먼 옛날에 신선이 여기에서 학을 타고 하늘로 날아올라 갔는데 그 .. 나의 이야기 2009.09.18
一城踏罷有高樓(일성답파유고루)/김삿갓 一城踏罷有高樓(일성답파유고루)/김삿갓 김삿갓 / 32. 一城踏罷有高樓(일성답파유고루) 32. 一城踏罷有高樓(일성답파유고루) 김삿갓 鶴城山(학성산) 서쪽에는 飄飄然亭(표표연정)이라는 또 하나의 정자가 있어 동쪽의 駕鶴樓(가학루)와 더불어 쌍벽을 이루고 있었다. 삼방계곡의 맑은 물이 흐르고 흐르.. 나의 이야기 2009.09.18
" 제99주기 국치일 기념행사 " 헌시낭송 : 신다회 시인 오, 겨레여 김 삼 열 천추에 용서 못 할 침략자와 맞서 태극기 높이 들고 만세 불렀다 잔악한 일본도에 왼손 잘리니 오른 손에 태극기 들고 다시 불렀다 오른 손이 일본도에 다시 잘리니 태극기 입에 물고 다시 외쳤다 대한 독립 만세! 대한 독립 만세! 식민통치 36년에 핏빛으로 물들었던 .. 나의 이야기 2009.08.30
" 칠석 (연인의 날)- 서울 선유도 공원 선유마당 오후 6시~ 칠석(연인의 날) - 선유도 공원 오후 6시~ 1부 ( 식전 관람객 참여행사 ) * 신비로운 나무 (소망을 담아 뛰우다) * 천년지애 촛불 * 천년지애 사랑 * 칠석 음식 나누기 * 길 놀이 ( 정식행사 ) * 사회자 인사말 - 김보성.김수진 * 축사 * 개회사 * 대복 2부 * 칠석제 * 천상의 울림 * 칠석무희 * 서기 - 창작무(국립.. 나의 이야기 2009.08.25
나무와 애벌레- 신다회시인 나무와 애벌레 - 신다회 - 여린 네그루 나무가 똑같이 자랐습니다 그러나 다른 꿈을 꾸며 다른 옷을 입었습니다 내마음속에 함께 자라고 있습니다 애벌레는 네그루 모두 올라갑니다 찔레향기 찾아 거침없이 기어가다 가시에 찔리고 낭떨어지에 '뚝' 떨어지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다시는 .. 나의 이야기 2009.08.22
"화성 봉담 쌈채고을로 오셔요~~ " " 파란 하늘처럼 맑고 깨끗한 화성 봉담 지인집 쌈채고을에 놀러왔어요~ 100% 무공해 웰빙음식으로 맛있게 식사하고 보이차 마시며 자연속에서 놀고있어요~ 울 님들 오시면 유기농 쌈밥 대접할께요~ 오셔요......" 나의 이야기 2009.08.09